갑상선 질환 환자의 해조류 섭취 주의사항
1. 해조류 속 요오드와 갑상선 호르몬 합성 메커니즘해조류는 미역, 다시마, 톳, 파래, 김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공통적으로 요오드(Iodine) 함량이 매우 높은 식품군에 속합니다. 요오드는 인체에서 갑상선 호르몬(T3: 트리요오드티로닌, T4: 티록신) 합성의 필수 원소로, 갑상선은 요오드를 혈액에서 흡수해 갑상선 세포 내에서 호르몬을 합성합니다. 이 호르몬은 체온 유지, 에너지 대사, 단백질 합성, 신경 발달 등 거의 모든 대사 과정에 관여하기 때문에, 요오드 섭취는 생리적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문제는 **‘적정량’**입니다.일반 성인의 요오드 하루 권장 섭취량은 약 150μg, 임신부는 약 220~250μg, 상한 섭취량은 2,400μg입니다. 건조 다시마 1g에는 평균 2,000μg..
2025. 8. 16.
빈혈 예방에 효과적인 해조류 속 철분
1. 해조류 속 철분의 특징과 흡수율해조류에는 김, 미역, 다시마, 톳, 파래, 모자반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모두 철분 함량이 높습니다. 대부분 식물성 철분은 비헴철(non-heme iron) 형태로 존재해 일반적으로 흡수율이 낮은데, 해조류는 예외적으로 흡수율이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그 이유는 해조류 속에 철분 흡수를 돕는 비타민 C, 유기산(구연산, 말산), 항산화물질이 함께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비타민 C는 비헴철을 장에서 잘 흡수되는 **환원형 철(Fe²⁺)**로 바꿔주고, 구연산·말산은 철분이 불용성 화합물로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흡수 효율을 높입니다. 특히 갈조류의 푸코이단과 폴리페놀 성분은 철분의 산화를 막아 장기 보존과 체내 활용도를 높여줍니다.이러한 특징 덕분에 해조류는 같은 양의..
2025. 8. 15.
운동선수의 근육 회복을 돕는 해조류 영양소
1. 근육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는 해조류 단백질과 아미노산 (단백질, 아미노산)운동선수의 근육 회복과 성장에는 고품질 단백질과 필수 아미노산의 지속적인 공급이 필수적입니다. 해조류, 특히 청각, 김, 다시마, 미역 등은 식물성 단백질원 중에서도 비교적 완전한 아미노산 구성을 보이며, 류신(leucine), 이소류신(isoleucine), 발린(valine)과 같은 BCAA(분지사슬 아미노산)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들 BCAA는 근육 내 mTOR 경로를 활성화해 근육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고, 운동 후 손상된 근섬유의 복구를 빠르게 진행합니다. 해조류 단백질은 위에서 빠르게 소화·흡수되는 동물성 단백질과 달리, 일부가 점진적으로 분해되어 혈중 아미노산 농도를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줍니다. 이는 운동 직..
2025. 8. 14.